치아가 튼실한 사람은 여러 가지 복이 있다. 상을 볼 때는 얼굴의 모양과 함께 말을 할 때의 이 모양도 살펴본다. 이는 가지런하고 틈새가 넓지 않아야 하는데, 틈새가 넓으면 재산을 모으기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치아는 사학당 중 하나로 내학당(內學堂)이다. 그러므로 치아가 들쑥날쑥하거나 엉성하다면 학업을 끝까지 마치기 어려워진다. 화형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것으로 화극금(火克金)하므로 치아가 왕성할 수 없다. 그래서 턱이 많이 발달할 수 없다. 이는 뼈의 정화(精華)이다. 뼈는 금석(金石)에 비유한다. 오행형에서 금형(金形)은 금기(金氣)가 왕성하므로 뼈의 정화인 이가 꽉 차면 턱이 발달해 얼굴이 네모지게 된다. “치아의 개수가 많고 희면서 윤이 나며 가지런하고 틈새가 없는 치아가 좋은 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