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란 이렇게 멋있게 해야 되는구나 열댓번 발표를 해도 습관이 안되는 발표
0'09 발표 진행하겠습니다
잘 전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제: 반도체장비기업의 유형별 혁신속서 및 기술 지식 영향력 요인 연구
0'25 저는 반도체장비기업의 유형별 혁신속서 및 기술 지식 영향력 요인 연구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번에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0'36제 콘텐츠는 다섯가지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간단하게 왜 연구를 시작했느냐 부터
내가 그간 알아볼(논문에 적용할) 이론적인 배경은 무엇이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가 나왔다 는것을 콘텐츠에 담아봤습니다
01.서론
0'47 첫번째로 서론 왜 제가 이 연구를 했는지 입니다
0'51(도입)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메타버스 이렇게 세개 4차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나는 이 세개 키 워드의 공통점이 무엇일 것 같습니까?
반도체기술을 사용한다는것이였습니다.이처럼 반도체 기술이 굉장히 중요해 지면서 이 반도체라는 키워드가 기술패권이라는 용어를 넘어서 국가안보에도 중요성을 보여줄수 있는 지금 이 시점에서 좋은 반도체를 만들려면 어떤 것이 필요할까를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1'23 그렇게 했을 때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3요소 정도가 무엇이 있을까 생각을 해봤습니다 | |||
1첫번째: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이 얼마나 품질이 좋느냐 이런것들도 영향이 있을수 있겠죠 | 3반도체 장비에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아무리 좋은 설계를 하더라도 장비가 좋지 못하면 이 설계를 따라갈 수 없다는 그러한 맹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는 | 2그리고 두번째로는 반도체 Chip을 얼마나 디자인을 잘했는지도 중요할수 있습니다 (한계)하지만 반도체를 만드는것이 저희가 가내 수공업처럼 손으로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반도체는 | 4장비 집약적 산업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반도체의 좋은 품질을 위해서 반도체 장비의 속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2'21 (동향)그래서 제가 이리저리 많은 검색을 해봤는데 이렇게 중요한 반도체에 대해서 더 많은 연구결과가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을 하였지만 생각보다 굉장히 적었습니다 | |
그리고 몇개 찾은 논문들에 제가 아쉬웠었던 부분은 경영관리적 사례연구들이 대부분이였다는 점이였습니다 | 저는 데이터분석을 통해서 정량적인 지표를 가지고 있는 논문을 찾고 싶었는데 제가 못찾은걸수도 있겠지만 제가 본 거 중에서는 지금까지 나오지 않았습니다 (나의연구)그래서 저는 데이터분석을 할수 있는 기업기반의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
02 이론적 배경
2'50 두번째로 이론적 배경 입니다
제가 어떠한 특성 기반으로 반도체 장비를 분석해 볼 것인가 했을때
2.1 반도체 장비 기술혁신 속성
2'57 반도체 장비의 기술혁신 속성은
첫번째 Pavitt 분류에 따르면
Pavitt은 여러가지 산업을 4가지로 분류하였습니다 이 4가지 중에 반도체 장비는 전문공급자형에 속합니다 이 전문공급자형에 속하는 산업의 특징은
(전문공급자형 외에) 나머지들은 가성비, 가격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면 이 전문공급자형의 경우는 고객이 성는에 민감한 특성을 가집니다 그렇게 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비는 성능에 민감한 특성을 첫번째로 갖습니다
3'30 그리고 두 번째 Hobday Taxonomy 를 확인해보면 Hobday는 자동차로 대표되는 대량생산제품과는 조금 다른 개념의 | ||
복합제품시스템이라는 기술분류를 제시했습니다 이 복합제품시스템은 (제품이)단순히 하나의 기계/장비로 구성되는것이 아니라 내부에 굉장히 많은 서브모듈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만들어지는것입니다. |
이 복합제품 시스템을 좀 뜯어보면은 복합에 있는 Complex라는 부분이 부품과 서브시스템의 다양한 기술적 기반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다양한 기술적 기반을 위해서 협업을 통해서 외부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개방형 혁신이 들어가야지만 다양한 기술적 기반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
그리고 두번째는 개방형 혁신으로 얻어온 기술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술에 대해서 하나로 통합해서 시스템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여러가지 나눠져 있는 기술들을 융합할 수 있는 기술 융합이 필요하다는 것 역시 복합제품시스템의 특성이고 반도체장비는 개방형 혁신과 기술 융합이 굉장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4'43 복합제품시스템을 하나의 예시로 보자면 왼쪽같은 경우에는 ASML이라는 노광장비를 만드는 기업의 장비입니다 이 장비가 보시면 아시다시피 굉장히 많은 서브모듈들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ASML은 개방형 혁신과 기술 융합을 굉장히 많이 사용을 합니다 이 노광장비 라는 것이 반도체 패턴을 만드는 장비인데 | |
패턴을 만들기 위한 Light Source와 Mirror같은 경우에는 자신들이 직접 제조하지 않습니다 외부에서 개방형 혁신으로 차용을 합니다. | 그 외에 서브모듈들을 개발한 이후에 개방형 혁신으로 만들어진 기술과 합쳐서 기술 융합을 만드는 굉장히 좋은 예시를 보여주는 것이 ASML의 노광장비 예시입니다 |
2.2. 반도체 장비 기업 유형 5'25 그리고 두번째로는 반도체 기업의 유형을 한번 나눠보려고 합니다 |
이 5개 기업은 많은 반도체기업 중에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지금 이렇게만 보시면 알 수 없지만 |
이 아래에 있는 내용은 해당 기업이 만드는 장비의 종류입니다 Applied Materials라고 보이는 가장 왼쪽에 있는 기업은 네가지 종류의 장비를 만듭니다 그리고 그 옆의 다른 기업도 4가지 3가지 2가지 이 기업들은 두 개 이상의 장비를 제조하는 기업들입니다 이 두 개 이상의 장비를 제조하는 기업군의 이름을 어떻게 붙일까 하다가 문어발기업이라고 한다면 너무 없어보이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
종합장비기업군이라는 좀 있어 보이는 용어를 붙이도록 하겠습니다 |
6'06 그리고 두 번째 앞에 종합장비기업군과 구분되는 이 5개의 기업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바로 하나의 장비의 종류만 만드는 기업들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원툴 기업들은 단일장비기업군이라고 명명을 하겠습니다
6'24 그래서 이론을 요약해보면 | ||
첫번째 Pavitt Taxonomy에 따라서 전문공급자형에 속하기 때문에 성능에 민감한 특성 | 두번째로 Hobday Taxonomy에 따라서 개방형 혁신과 기술 융합을 적극적으로 차용한다는 점 | 그리고 반도체 장비 기업은 종합장비기업군과 단일장비기업군으로 나눌수 있다는 점 요 3가지를 기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3.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6'47 그 다음으로 앞에서 이론적배경을 기반으로 어떤 연구가설을 제가 썻는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3.1 가설1) 기업 유형별 기술지식 연계성 6'53 첫번째 가설은 기업유형별 기술지식 연계성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여기서 아까도 기술지식이라는 말이 잠시 언급됬지만 기술지식은 특허를 말합니다 각 기업이 출원한 특허를 말하고 뒤에 연계성 이라는것은 그 출원한 특허가 얼마나 서로 관계가 있는지 연관성이 있는지 얼마나 비슷한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런 정의를 가지고 나서 저희가 아까 나눠보았던 |
|||||
단일장비기업군과 종합장비기업군으로 봤을때 | 하지만 종합장비기업군 같은 경우에는 | ||||
단일장비기업군 같은 경우에는 한 종류의 공정장비만 제작하기때문에 각자가 특화된 영역이 다릅니다 이렇게 된다면은 그들이 내는 특허는 과연 겹칠수 있을까요? 아마도 저는 아닐거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특화된 영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 Etch라는 공정에는 4개기업 | Depositon이라는 공정에는 3개 기업 | Cleaning이라는 공정에는 3개기업 이렇게 같은 공정에 대해서 여러가지 행사가 (경쟁)붙게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Etch라는 공정 기술을 만들기 위해서 비슷한 특허 즉 기술 지식을 만들 것이라고 저는 판단을 했습니다 |
그래서 저의 첫번째 가설은 종합장비기업군의 기술지식 연계성이 단일장비기업군에 비해 높다 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3.1 가설2) 기업 유형별 기술지식 영향력 8'15 그리고 두번째는 기업 유형별 기술지식 영향력 입니다 기술지식 영향력, 즉 특허의 영향력은 무엇을 의미하냐면 특허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그 특허가 얼마나 좋은지 얼마나 다른 특허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는지 를 기술지식 영향력으로 봤습니다 여기서 가설을 잡을때 |
||
단일장비기업군의 예시를 좀 생각을 해 봤습니다 | ||
첫번째, 아까 그림에도 나와던 ASML이라는 회사는 노광장비 시작엣 90%이상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더욱 더 빛나는 이유는 이전에 있었던 2개 기업의 과점체제를 극복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 그리고 두번째 KLA라는 회사는 측정 장비시장(업체)에서 58%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KLA의 이름을 딴 파일 Format명을 만들 정도로 KLA도 굉장히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ASM이라는 회사는 (Deposition 공정중)ALD라는 높은 난이도의 공정장비에 대해서 50%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과연 이게(높은 시장 점유율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라고 생각을 했을 때 이렇게 독좀적인 지위를 만들 수 잇엇던 이유는 | ||
한 종류의 장비에 단일장비기업군이 집중하면서 좋은 특허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기 때문에 독점적 지위를 확보했을 거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
그래서 저의 두번째 가설은 단일장비기업군의 기술지식 영향력이 종합장비기업군에 비해 높다 를 두번째 가설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3.1 가설3) 개방형 혁신->기술지식 영향력 9'43 그리고 세번째 가설은 개방형 혁신이 기술지식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
|
반도체에 어려운 부분은 집적도(Integration)라는 것입니다 쉽게 조금 설명을 하자면 예전엔(28nm)붓을 가지고 귤위에 그림을 그릴수 있었다면 이렇게 14nm로 줄어들었을 때는 낑깡 위에 똑같은 붓으로 그림을 그려야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말씀드리는 붓은 반도체 장비를 의미합니다 | 2011년의 28nm였던 칩의 크기가 2015년에 14nm로 축소 가 됬습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2023년에는 3nm 2025년에는 1nm까지 줄어든다는 것이 지금 업계의 전망인데 2011년에 비해서 2025년에는 1/28로 (칩의 크기가)작아지는 것입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냐면 28nm때 그림을 그렸던 붓을 2025년에 사용할수 있을까요?절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반도체 장비로 비유한 붓(처럼) 반도체 장비는 |
기술수명주기가 굉장히 짧은 특성을 가집니다 짧은 수명주기를 따라가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 기술혁신의 시간을 단축하고 시장 수요와 기술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의 특성을 이용할 시 기술의 고도화를 따라갈 수 있다라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
그렇기때문에 개방형 혁신은 종합장비기업군과 단일장비기업군의을 가리지 않고 기술지식 영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세번째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3.1 가설4) 기술융합->기술지식 영향력 11'13 마지막으로 네번째 가설은 기술융합이 기술지식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여기서 예시를 하나 들면 |
|||
3이것은 예전에는 하드웨이만 강조가 되었습니다 | 4(기구적인 부분과 연관되는)물리학적 지식 또는 화확적 지식만 강조가 되면서 물리학과 화학만 융합이 잘 되면 좋은 현미경이 나온다 라고 예전엔 그랬지만 | ||
1전자현미경(SEM Scanning Microscope)이라는 장비가 있습니다 | 2오른쪽과 같은 같은 그림을 만들어내는 장비인데요 | ||
5모든 것이 자동으로 돌아가는 지금 시점에서는 (현미경으로 볼수 있는) 이 그림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확인할수 있는 알고리즘 역시 굉장히 중요하게 됬습니다 | 6이 알고리즘 같은 경우에는 수학과 통계학이 포함이 됩니다 이 이야기를 다시 설명하자면 기술고도화가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술 융합이 필요하다 라는것이 되고 그래서 기술 융합의 정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반도체 장비 기술지식의 고도화를 촉진할것이라고 판단을 하였습니다 | ||
이 이야기를 다시 설명하자면 기술고도화가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술 융합이 필요하다 라는것이 되고 그래서 기술 융합의 정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반도체 장비 기술지식의 고도화를 촉진할것이라고 판단을 하였습니다 |
그래서 네 번째 마지막 가설은 기술 융합의 정도는 종합장비기업군과 단일장비기업군의 기술지식 영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라는 것이 네 번째 가설이었습니다 그래서 이 4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분석 대상과 분석 데이터를 선정하였습니다
3.2 분석 대상 및 분석 데이터 선정 12'24 그래서 이 네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분석대상과 분석 데이터를 선정하였습니다 |
|
첫번째로는 종합장비기업군에 속하는 기업 3곳을 선정하였고 | 단일장비기업군 기업도 3곳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렇게 선정한 까닭은 2020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상위에 있는 종합장비기업 3곳 단일장비기업 3곳을 먼저 분석 대상으로 골랐고 |
데이터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 등록된 약28,000개의 특허를 선정하였습니다 |
3.3 종속변수) 기술지식 영향력 12'52 그래서 아까 말씁드린 기술지식 영향력 즉, 특허의 가치는 무엇으로 설명할수 있을가 라고 했을 때 특허는 인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특허를 만들기 위해 |
||
(기존의 특허를 인용하는 것이) 필요하구나 라는 판단이 들어야지만 이전에 있었던 특허를 인용하게 되는데 기존에 잇던 특허를 인용하는 것을 Backward Citation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이렇게 인용을 했다는 이야기 자체가 이 특허(이전에 나온 특허)가 그만큼 가치가 있다 라고 표현이 될수 있겠죠 | 이것을 다시 이야기하면 지금 (출원한) 특허를 다른 특허가 인용한 Forward Citation의 수가 높으면 특허의 가치가 높다고 표현할수 있기때문에 기술지식 영향력이 높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술지식 영향력은 Forward Citation의 수로 결정하였습니다 |
3.3 독립변수) 개방형 혁신: 출원인 분석 13'41 그리고 두번째로 개방형 혁신의 여부는 출원인 분석을 사용했습니다 |
|
이렇게 두 개의 특허를 비교했을 때 | |
1첫번째 특허 출원인은 한 곳의 기업입니다 | 2하지만 옆(오른쪽)의 특허 같은 경우에는 세 곳의 출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원을 같이 했다 라는 것은 그 특허에 같이 책임을 진다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간의 협업을 통한 개방형 혁신을 수행했다는 것이 명확해지는 부분이 있어서 |
3왼쪽 처럼 단일 출원인의 경우에는 폐쇄형 혁신으로 보고 | 4(오른쪽처럼)여러 출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개방형 혁신으로 보고 이것을 Dummy 변수로 잡았습니다 |
3.3 독립변수) 기술 융합: IPC co-classification 14'15 세 번째로는 기술 융합에 대한 독립변수인데 IPC co-classification을 이용하였습니다 |
IPC 코드라는 것이 가각의 특허마다 주어지게 되는데요 이 왼쪽에 보이는 약 10개의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IPC 코드입니다 그래서 이 IPC 코드의 Description을 보시면 특정한 기술 이름이 적혀져 있습니다 |
그렇다면은 이 IPC 코드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기술 분류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러한 기술 분류가 있기때문에 (IPC 코드) 하나하나를 기술A/기술B/기술C라고 나눌 수 있고 이러한 3개의 기술은 서로 다르다 라고 저희는 알 수 있습니다 |
이를 기반으로 3개의 특허를 분석을 해보면 | ||
첫번째 특허같은 경우는 IPC 코드를 하나만 가지고 있습니다 | 그리고 두번째 같은 경우에는 3개 | 마지막 특허의 경우에는 약 10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이 이야기는 무엇을 이야기하냐면 왼쪽 같은 경우에는 융합을 딱히 진행하지 않고 단일기술만을 사용했고 오른쪽으로 가면 갈수록 기술 융합이 더욱 더 많아진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기술 융합의 변수는 IPC 코드의 개수로 정의하였습니다 |
3.3 기술지식 영향력) Regression 15'20 이걸 기반으로 기술지식 영향력에 대한 Regression식을 본다면 |
||
종속 변수는 기술지식 영향력 | 독립 변수에는 아까 언급드린 개방형 혁신과 기술 융합 | 그리고 이것에 대한 노이즈를 조금 방지하기 위해서 다섯 개 정도의 통제변수 역시 지정했습니다 |
3.3 종속변수) 기술지식 연계성 15'36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종속변수인 기술지식 연계성 설명 같은 경우에는 위의 3개 기업은 제가 골랐던 종합장비기업군의 예시입니다 |
|
왼쪽에 보시면 이렇게 IPC 코드가 나타나있는데 IPC 코드를 봤을 때 | 3개의 기업이 모두 동일한 IPC 코드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하면 이 특정 기술에 대해서 모두가 관심이 있고 연구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간의)기술 지식의 연계성이 높다고 볼수 있고 |
아래처럼 한 개의 기업이라도 관심이 없는 기술이라면 기술 지식의 대한 연계성이 없다 관련이 없다 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 |
그룹의 기술지식 연계성 = 관련된 특허개수/그룹의 전체 특허개수 이라는 지표를 만들었습니다 |
16'25 연구결과를 말씀드리면
4.1 기술지식 연계성 | |
16'30 첫번째 기술지식 연계성에 대해서 먼저 말씀드리면 종합장비기업군 같은 경우 약 19,000개의 특허 중 약 14,000개가 서로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0.73이라는 기술지식 연계성을 보여줬고 | 그래서 첫번째 제시하였던 가설인 종합장비기업군의 기술지식 연계성이 단일 장비기업군에 비해서 높다는(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두번째로 단일장비기업군은 약9,000개 특허 중 약 3,000개 정도가 서로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종합장비기업군에 비해서 약1/2의 기술지식 연계성을 보여주었습니다 |
4.2 기술적 영향력 | |
17'02 두 번째로 기술지식 영향력같은 경우에는 단일장비기업군의 약9,000개 특허 Forward Citation 개수의 평균을 구해보니 평균했을때 30.62의 값이 나왔고 | 즉 두 번째 제시했던 단일장비기업군의 기술지식 영향력이 종합장비기업군에 비해 높다 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종합장비기업군 같은 경우 23.91이 나와서 단일장비기업군의 Forward Citation수가 더 높다 |
4.3 개방적 혁신과 기술 융합의 영향 17'30 그리고 개방형 혁신/기술 융합과 기술지식 영향력에 대한 Regression결과 종합장비기업군과 단일장비기업군을 따로 확인을 해봤습니다 |
||
종합장비기업군에서두 가지 모델로 확인을 했었는데 | ||
첫번쨰 모델은 간단했습니다 개방형 혁신, 기술 융합, 특허 경과년수만을 (종속변수로)했을 때 99%의 확률(p<0.01)로 개방형 혁신같은 경우에는 (-)의 영향 그러니까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기술 융합같은 경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습니다 | 또한 나머지 통제변수를 모두 다 합친 모델에서도 이렇게 (부정적인 영향)나타났기 때문에 | 세 번째로 제시했었던 개방형 혁신이 기술지식 영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
네 번째 가설이었던 기술 융합의 정도가 기술지식 영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99% 확률(p<0.01)로 지지하였습니다 |
그리고 단일장비기업군에서도 동일하게 개방형 혁신 같은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 기술 융합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99%(p<0.01)의 확률로 확인을 하였습니다
18'35
그래서 마지막으로 결론입니다
5.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
|
첫번째로는 기술지식 연계성에 관련된 이야기는 종합장비기업군이 더욱 더 많은 장비군을 만들기 때문에 서로간의 연계성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 두번째로 단일장비기업군의 기술지식 영향력이 종합장비기업군에 비해 높다라는 사실은 아까 제가 언급드렸던 독점적 지위를 얻기 위해서 기술지식을 그만큼 더 많이 쌓았다라는 단일장비기업군의 특성을 보여주고 이 연구에서 가장 Key가 되는 가설검증 이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
그리고 세 번째 개방형 혁신과 기술지식 영향력의 관계는 긍정적인 영향이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 네 번째 기술 융합의 정도는 기술지식 영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5.2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19'23 이러한 결론을 가지고 향후에 어떤 연구를 조금 해보면 좋을까 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
||
첫번째 같은 경우에는 제가 특허 데이터만을 분석을 했기때문에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혹은 이 회사가 이렇게 기술지식 영향력이 높았을 때 재무적으로도 좋다 라는 결론을 도출하는 데는 실패하였습니다 그래서 향후 연구에서는 재무제표를 조금 이용하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고 | 두번쨰는 전유성(Appropriability)관련된 이야기였습니다 특허라는 것은 공개되는 데이터인데 반도체 장비라는 굉징히 특수하고 비밀에 가려진 이러한 산업에서는 전유성때문에 보이지 ㅇ낳는 것들도(=공개되지 않는)굉장히 많을 수도 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 전유성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선 현직자 인터뷰 같은 부분을 통해서 그들의 영업비밀이나 이런 것들을 확인해서 어떤 결과를 도출할 수 잇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 마지막으로는 유일하게 가설을 지지하지 않았던 개방형 혁신과 기술지식 영향력에 대한 관계를 조금 더 많은 변수를 사용을 해서 확인을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에 대해서 확인을 한 번 해봐야 겠다라는 생각을 해서 향후 연구 방향을 이렇게 세 개로 지정하였습니다 |
발표는 여기까지 갖고 질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格局 > 向往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你的 PowerPoint 够 Power 吗? (0) | 2023.08.20 |
---|---|
생명과학과 대학원 컨택부터 석사따기까지 (0) | 2023.08.20 |
대학원생이 겪는 고민 (0) | 2023.08.13 |
16차랩발표 (0) | 2023.08.06 |
대학원생 스케쥴관리 (0) | 202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