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줄기채소
배추, 바이차이 白菜 [baicai]
白菜라고도 하고 大白菜라고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보통 배추를 볶아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娃娃菜라고 아기배추를 나타내는 말도 있습니다.
양배추, 줸신차이 卷心菜 [juǎnxīncai]
잎으로 덮혀져 있다고 해서 包心菜 또는 包菜라고도 합니다. 자색양배추는 紫色包心菜라고 하시면 됩니다. 역시 볶음요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양배추도 종류가 다양한데 京包菜는 둥근 구의 모양을 가르킵니다.
상추, 셩차이 生菜[shēngcai]
상추는 북방이나 남방이나 다 生菜라고 합니다. 역시 볶아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금치, 보차이 菠菜 [bōcai]
시금치는 보통 탕으로 해서 먹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물론 볶아서 먹기도 합니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302_136/wooyong11_13937656924843Tz05_JPEG/1279066269337.jpg?type=w2)
브로콜리, 시란화 西兰花 [xīlanhuā]
중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느 식재료입니다. 주로 볶아서 먹습니다.
콜리플라워, 화차이 花菜 [huācai]
한국에 있을 때도 콜리플라워를 먹은 적도 거의 없어서 이름을 잘 몰랐는데 중국에서 와서 중국어 이름으로 먼저 배운 관계로 西兰花와 花菜를 항상 헛갈렸던 기억이 납니다. 새하얀 빛깔을 뽑내는 꽃과 같은 녀석은 花菜이고 푸른 빛깔의 녀석은 西兰花라고 기억하시면 조금 쉽습니다. 花椰菜라고도 합니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302_287/wooyong11_1393766334648udODP_JPEG/778473_48492494.jpg?type=w2)
셀러리, 친차이 芹菜 [qincai]
중국에서는 셀러리를 많이 먹는 채소 중에 하나입니다. 주로 볶아서 많이 먹습니다. 西芹이라고도 합니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302_158/wooyong11_1393767484834irNfd_JPEG/3367900_190918077199_2.jpg?type=w2)
부추, 지우차이 韭菜 [jiǔcai]
부추는 만두의 속으로 넣어서 먹기도 하고 볶아서 먹기도 합니다.
양상추, 시셩차이 西生菜 [xīshēngcai]
양상추의 이름을 西生菜라고 알려드리지만 많은 중국사람들이 이 야채의 이름을 모르시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그래서 做沙拉的菜(샐러드 할 때 쓰이는 야채)라고 하시면 알아 들을 수 있는 분도 계실 겁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球生菜、圆生菜라고도 합니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302_277/wooyong11_1393769941994sUuFY_JPEG/u%3D1826841122%2C3393206521fm%3D23gp%3D0.jpg?type=w2)
마늘, 따쑤안大蒜 [dasuan]
마늘은 부위와 상태별로 표현하는 방법이 다른데 아래 그림을 蒜头라고 하며 蒜瓣은 깐마늘, 蒜泥는 다진마늘, 蒜苗는마늘잎, 蒜薹는 마늘종을 가르킵니다.
양파, 양총 洋葱 [yangcōng]
양파는 보통 다 볶아서 먹습니다. 생으로는 거의 먹지 않습니다.
콩나물, 황또우야 黄豆芽 [huangdouya]
중국어의 표현을 알면 콩나물이 대두 콩의 새싹이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숙주나물, 뤼또우야 绿豆芽 [lǜdouya]
이 숙주나물도 녹두의 새싹인지 확인 가능합니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303_39/wooyong11_1393849399608eo2lW_JPEG/1739735_090511068_2.jpg?type=w2)
파, 총 葱 [cōng]
대파는 大葱이며, 쪽파는 小葱입니다. 보통 중국에서 대파는 채소로 사용하며 쪽파는 조미료의 느낌으로 사용합니다.
머위, 펑또우차이 蜂斗菜 [fēngdoucai]
이번 기회에 저도 알게된 채소네요. 중국 사람한테 물어보니 대부분 모르더군요. 중국에서는 잘 먹지 않는 야생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쑥갓, 통하오 茼蒿 [tonghāo]
남방사람보다 북방사람들이 더 많이 먹으며 탕에 넣어서 먹거나 무쳐서 먹기도 합니다. 남방에서는 皇帝菜라고도 합니다.
아스파라거스, 루순 芦笋 [lusǔn]
볶아서 먹거나 무쳐서 먹기도 합니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307_232/wooyong11_1394174695302RMRjE_JPEG/20041121_926997_390243351.jpg?type=w2)
죽순, 주순 竹笋[zhusǔn]
역시 볶음요리와 무침요리에 쓰이며 탕요리에도 가끔 보실 수 있습니다.
깻잎, 수즈예 苏子叶 [sūzǐye]
깻잎은 보통 들깨잎으로 먹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苏子는 들깨라고 쓰입니다. 하지만 이 깻잎은 중국에서는 거의 먹지 않습니다.
콜라비, 피에란 苤蓝 [piělan]
콜라비는 보통 볶아서 먹습니다.
미나리, 쉐이친차이 水芹菜 [shuǐqincai]
볶거나 무쳐서 먹습니다.
파슬리, 허란친 荷兰芹 [helanqin]
어렸을 때 스테이크를 먹을 때 나왔던 파슬리, 주변에서 먹는게 아니라 그냥 장식용이라고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중국에서도 그렇게 애용되는 식재료는 아닙니다. 역시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게 많습니다.
청경채, 샹하이칭 上海青 [Shanghǎiqīng]
박초이로 많이 알려진 야채입니다. 농림수산부에서 이 야채를 처음 도입할 때 청축을 청경채 백축을 박초이라고 정했다고 하네요. 박초이는 광동어 발음에서 유래된 명칭입니다. 중국에서 특히 광동지역에서는 쌀밥을 먹을 때 반찬으로 青菜라고 하는 야채를 먹습니다. 이 청경채도 그 종류 중에 하나입니다. 青菜는 녹색 잎파리를 가진 야채 종류를 말합니다.
청경채, 샤오바이차이 小白菜 [xiǎobaicai]
역시 청경채 종류 중의 하나로 사실 잎파리는 푸르고 줄기는 백색이면 대부분은 小白菜라고 불려도 될 정도 입니다. 青菜의 일종입니다.
물냉이, 또우빤차이 豆瓣菜 [doubancai]
西洋菜라고도 합니다.
유맥채, 요우마이차이 油麦菜 [youmaicai]
한국에는 먹지 않는 야채이기 때문에 따로 되어 있는 이름이 없어서 그대로 번역했습니다. 역시 青菜의 일종입니다.
공심채, 콩신차이 空心菜 [kōngxīncai]
아삭한 식감때문에 은근히 좋아하시는 분이 많은 야채입니다. 역시 青菜의 일종입니다.
채심, 차이신 菜心 [caixīn]
네이버 사전을 찾아보니 야채의 고갱이라고 나와 있군요. 고갱이가 무슨 뜻인지 몰라서 다시 찾아보니 풀이나 나무에 줄기 한가운데 있는 연한 심이라고 나와있네요. 사실 이 야채는 고갱이가 아니라 야채 종류 중에 한가지입니다. 역시 青菜 종류 중에 인기가 많은 종류이지요.
고수나물, 샹차이 香菜 [xiāngcai]
향이 독특하고 태국음식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야채입니다. 남방에서는 芫茜[yansuī]이라고도 합니다.
설리홍, 쉐리홍 雪里红 [xuělǐhong]
갓으로 번역이 되어 있지만 네이버사이트의 사진과 바이두의 사진이 같지 않아서 갓도 여러종류가 있어서 다른거나 하고 의문이 듭니다. 전문가 분들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네이버에 나온 갓 사진
바이두 백과사전에 나온 雪里红 사진
고사리 줴차이 蕨菜 [juecai]
뿌리채소
당근, 후루오보 胡萝卜 [huluobo]
红萝卜라고 하기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당근과 홍당무 둘다 红萝卜와 胡萝卜로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무, 루오보 萝卜 [luobo]
白萝卜라고 하며 볶음 요리에 많이 먹습니다.
래디시 잉타오루오보 樱桃萝卜 [yīngtaoluobo]
小萝卜라고도 합니다. 앵두 모양이라고 해서 樱桃萝卜라고 하는군요.
감자, 투또우 土豆 [tǔdou]
지역마다 표현이 조금씩 다른데 马铃薯[mǎlingshǔ]라고도 합니다.
우엉, 니우빵 牛蒡[niubang]
연근, 오우 藕 [ǒu]
고구마, 띠과 地瓜 [diguā]
고구마는 지방마다 품종마다 불리우는 표현이 많습니다. 甘薯、白薯(속이 하얀 고구마)、红薯(속이 붉은 고구마)、紫薯(속이 보라색인 고구마)、番薯등이 있습니다.
도라지, 지에겅 桔梗 [jiegěng]
중국에서는 도라지를 그렇게 흔한 식재료가 아닙니다. 모르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더덕, 샤션 沙参 [shāshēn]
토란, 위토우 芋头 [yutou]
마, 샨야오 山药 [shānyao]
생강, 셩지앙 生姜 [shēngjiāng]
중국 요리에 볶음 요리에 자주 이용되는 식재료입니다.
열매채소
토마토, 시홍쓰 西红柿 [xīhongshi]
番茄라고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토마토를 이용한 요리가 많습니다.
오이, 황과 黄瓜 [huangguā]
광동지역에서는 青瓜라고 합니다.
가지, 치에즈 茄子 [qiezi]
가지는 주로 红烧(간장으로 조린 조리방법)해서 많이 먹습니다.
호박, 난과 南瓜 [nanguā]
호박의 다른 품종으로 小金瓜라고 하는 품종도 있습니다.
고추, 라지아오 辣椒 [lajiāo]
피망, 파프리카, 티엔지아오 甜椒 [tianjiāo]
다양한 색깔이 존재해서 彩椒라고도 합니다.
옥수수, 위미 玉米
玉米棒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동과 冬瓜 [dōngguā]
수박크기의 거대한 야채로서 탕이나 볶아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세미외, 스과 丝瓜 [sīguā]
여주, 고과, 쿠과 苦瓜 [kǔguā]
쓴 맛이 특징인 이 야채는 광동지역에서는 凉瓜라고도 합니다.
애호박, 교과, 지아오과 角瓜 [jiǎoguā]
搅瓜또는 小瓜라고 합니다.
편두 비엔또우 扁豆 [biǎndou]
중국에서는 콩 껍질을 벗기지 않고 그대로 볶아서 먹습니다. 이 편두도 그런 종류 중에 한가지입니다. 查豆라고도 합니다.
식용용 연한 콩꼬투리, 또우지아오 豆角 [doujiǎo]
豇豆(gangdou,jiangdou), 菜豆라고도 불리웁니다.
허란또우 荷兰豆 [helandou]
납작한 모양이 인상적입니다.
윈또우 芸豆 [yundou]
四季豆라고도 합니다.
황치우쿠에이 黄秋葵 [huangqiūkui]
겉 모습은 고추처럼 생겼지만 안은 진듯한 점액으로 되어 있어서 담백한 맛을 자랑합니다.
봄나물
두릅, 츠라오야 刺老鸦 [cilǎoyā]
냉이, 찌차이 荠菜 [jicai]
돌나물 추에이펀차오 垂盆草 [chuipencǎo]
중국에서는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지만 한국에서도 식용으로 이용됩니다.
유채 요우차이 油菜 [youcai]
쑥, 아이차오 艾草 [aicǎo]
달래, 샨수안 山蒜 [shānsuan]
野蒜, 小蒜이라고도 합니다.
고들배기, 쿠차이 苦菜 [kǔcai]
참나물 : 短果茴芹, 학명 Pimpinella brachycarpa
아욱 : 冬寒菜
근대 : 叶用甜菜,<俗>牛皮菜, leaf beet
취나물 : 山白菜
봄동, 참나물, 아욱, 근대